산업안전기사

2021년05월15일 65번

[전기위험방지기술]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시설장소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설치한다.
  • ②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 값 이상이어야 한다.
  • ③ 정격감도전류는 정상의 사용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 ④ 인체감전보호형은 0.05초 이내에 동작하는 고감도고속형이어야 한다.
(정답률: 75.63%)

문제 해설

네, 맞습니다. 정답은 **4번 인체감전보호형은 0.05초 이내에 동작하는 고감도고속형이어야 한다.**입니다.

**누전차단기**는 전기기계에서 누전전류가 흐를 때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누전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따라 전기기계의 외함이 전압이 걸리게 되어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설장소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설치한다.
*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 값 이상이어야 한다.
* 정격감도전류는 정상의 사용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인체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의 경우**, 정격감도전류는 30mA 이하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인체가 감전되는 전류량이 30mA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작시간은 0.05초 이내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사람이 감전된 후 0.05초 이내에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는 기준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4번 인체감전보호형은 0.05초 이내에 동작하는 고감도고속형이어야 한다.**는 내용은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에 맞지 않는 내용입니다.

**정확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누전차단기**
* 전기기계에서 누전전류가 흐를 때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해야 함

>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
* 시설장소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설치한다.
*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 값 이상이어야 한다.
* 정격감도전류는 정상의 사용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 **인체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
* 정격감도전류는 30mA 이하로 설정되어야 함
* 동작시간은 0.05초 이내로 설정되어야 함

> **이 문제의 경우**
* 4번 인체감전보호형은 0.05초 이내에 동작하는 고감도고속형이어야 한다.는 내용은
* 인체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기준에 어긋남
* 따라서, 정답은 **4번**임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