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21년05월15일 78번

[전기위험방지기술] 계통접지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① TN계통
  • ② TT계통
  • ③ IN계통
  • ④ IT계통
(정답률: 58.75%)

문제 해설

네, 맞습니다. 정답은 **3번 IN계통**입니다.

**계통접지**는 **전기설비의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여, 전기설비의 노출도전성 부분의 누설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IN계통**은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는 계통**입니다.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할 경우,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IN계통**은 **계통접지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계통의 경우**

* **TN계통**은 **중성선을 접지하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입니다. 중성선이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하더라도,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적습니다.
* **TT계통**은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입니다. 중성선이 접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할 경우,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IT계통**은 **중성선을 절연하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입니다. 중성선이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하더라도,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없습니다. 하지만, 절연체의 손상으로 인해 중성선이 접지될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

* **IN계통**은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는 계통**이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높음
* 따라서, **IN계통**은 **계통접지에 적합하지 않음**

따라서, **정답은 3번 IN계통**입니다.

**정확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통접지**
* 전기설비의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여, 전기설비의 노출도전성 부분의 누설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것

> **IN계통**
*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는 계통
* 지락이 발생할 경우,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음
* 따라서, 계통접지에 적합하지 않음

> **다른 계통의 경우**
* TN계통
* 중성선을 접지하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
* 중성선이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하더라도,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적음
* TT계통
*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
* 중성선이 접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할 경우,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음
* 하지만,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음
* IT계통
* 중성선을 절연하고, 접지개로와 대지 사이에 접지를 설치하는 계통
* 중성선이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지락이 발생하더라도, 중성선과 접지 사이에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없음
* 하지만, 절연체의 손상으로 인해 중성선이 접지될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음

> **이 문제의 경우**
* IN계통은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는 계통이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높음
* 따라서, IN계통은 계통접지에 적합하지 않음
* 정답은 3번 IN계통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