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3년08월18일 13번

[산업안전관리론] 도수율이 12.57, 강도율이 17.45인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평생 근무한다면 며칠의 근로손실이 발생 하겠는가? (단 1인 근로자의 평생근로시간은( 105 시간이다.)

  • ① 1257일
  • ② 126일
  • ③ 1745일
  • ④ 175일
(정답률: 61%)

문제 해설

## 문제 해설

**문제:** 도수율이 12.57, 강도율이 17.45인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평생 근무한다면 며칠의 근로손실이 발생 하겠는가? (단 1인 근로자의 평생근로시간은( 105 시간이다.)

**해설:**

**1. 도수율 및 강도율 개념**

* **도수율:** 1년 동안 발생하는 산업재해 건수와 전체 근로자 수의 비율
* **강도율:** 100만 근로자당 발생하는 산업재해 건수

**2. 근로손실 계산**

본 문제는 도수율과 강도율을 이용하여 근로손실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근로손실 = 도수율 * 강도율 * 평생근로시간**

**3. 수치 대입 및 계산**

문제에서 제시된 수치를 이용하여 근로손실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근로손실 = 0.1257 * 0.1745 * 105 = 2.21775 ≈ 2.22**

**4. 결론**

따라서 도수율이 12.57, 강도율이 17.45인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평생 근무한다면 발생하는 근로손실은 약 **2.22일**입니다.

**참고:**

* 근로손실은 산업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근로 시간 손실을 의미합니다.
* 근로손실은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 사업장은 근로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 관리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