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산림기사 (2019년04월27日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종자의 결실 주기가 가장 긴 수종은?
2번
개벌왜림작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번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번
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파상톱니가 있고 가끔 가시가 줄기에 발달하는 콩과의 교목성 수종은?
5번
수목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원소가 아닌 것은?
6번
실생묘의 묘령 표시 방법으로 2-2-1에 대하여 옳은 것은?
7번
인공 조림지의 무육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8번
모수작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번
자웅이주에 해당하는 수종은?
10번
주로 종자에 의해 양성된 묘목으로 높은 수고를 가지며 성숙해서 열매를 맺게 되는 숲은?
11번
수목 체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번
다음 조건에서 파종량은?
13번
산림 생태계의 천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4번
개화 결실 촉진을 위한 처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번
택벌작업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산림토양 단면에서 층위에 순서로 옳은 것은?
17번
자귀나무와 박태기나무의 열매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18번
식재밀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9번
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번
수분과 수목생장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잣나무넓적잎벌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22번
염분을 함유한 바다 바람에 강한 수종이 아닌 것은?
23번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약한 것은?
24번
병원균의 형태 중 여름포자가 없는 녹병은?
25번
성충으로 월동하는 해충으로만 나열한 것은?
26번
산림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7번
모잘록병 병원균 중 불완전균류가 아닌 것은?
28번
호두나무잎벌레의 천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9번
겨우살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번
미국흰불나방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로 가장 효과가 약한 것은?
31번
기피제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32번
벚나무 빗자루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33번
수목병의 중간기주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34번
리지납뿌리썩음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번
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6번
측백나무 검은돌기잎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번
배의 마디가 뚜렷하지 않고 머리도 명확하지 않은 유충의 형태이며, 벌목의 일부 기생벌 유충에서 볼 수 있는 형태는?
38번
종실해충 방제를 위한 약제 살포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번
청각기관인 존스톤기관은 곤충의 어느 부위에 존재하는가?
40번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임업경영의 지도원칙 중 경제성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번
산림청장 또는 시·도지사가 산림문화 휴양 기본계획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이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실시해야하는 기초조사 내용은?
43번
임업 순수익 계산 방법으로 옳은 것은?
44번
산림경영을 위하여 설정하는 산림구획이 아닌 것은?
45번
수익·비용율법을 투자의 의사결정방법으로 사용할 때 투자 가치가 있는 사업으로 평가되는 것은? (단, B는 수익이고 C는 비용)
46번
육림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번
손익분기점 분석에 필요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번
산림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9번
산림수확 조절을 위한 선형계획모형의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50번
측고기 사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번
농지의 주변이나 둑, 농지와 산지의 경계에 유실수, 특용수, 속성수 등을 식재하여 임업 수입의 조기화를 도모하는 것은?
52번
임업이율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53번
시장가역산법에 의한 임목가 결정에 필요한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4번
임분의 연령을 측정하는 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55번
5년 전의 임분재적이 80m3/ha 이고, 현재의 임분재적이 100m3/ha 인 경우 Pressler 식에 의한 임분재적 생장률은?
56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57번
똑같은 산림경영패턴이 영구히 반복된다는 것을 가정한 임지의 평가 방법은?
58번
임분의 재적을 측정하기 위해 임분의 임목을 모두 조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59번
법정림에서 산림면적이 400ha, 윤벌기가 50년이면 1영계의 면적은?
60번
지위가 서로 다른 3개 임분의 면적과 벌기재적이 다음 표와 같을 때 Ⅰ등지 임분의 개위면적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임도의 노체를 구성하고 있는 순서로 옳은 것은?
62번
다음 ( )안에 적절한 것은?
63번
임도의 종단기울기가 4%, 횡단기울기가 3%일 때의 합성기울기는?
64번
토량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번
급경사의 긴 비탈면인 산지에서는 지그재그 방식, 완경사지에서 대각선방식이 적당한 임도의 종류는?
66번
일반 도저와 비교한 티트 도저(tilt-dozer)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67번
아래 그림에서 경사도의 표기와 기울기값으로 옳은 것은?
68번
임도 측량 방법으로 영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번
어떤 측점에서부터 차례로 측량을 하여 최후에 다시 출발한 측점으로 되돌아오는 측량방법으로 소규모의 단독적인 측량에 많이 이용되는 트래버스 방법은?
70번
적정지선 임도간격이 500m일 때 적정지선 임도밀도(m/ha)는?
71번
임도의 설계 업무 순서로 옳은 것은?
72번
지표면 및 비탈면의 상태에 따른 유출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73번
임도망 계획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74번
배향곡선지에서 임도의 유효너비 기준은?
75번
암석을 굴착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
76번
임도의 평면선형에서 사용하지 않는 곡선은?
77번
컴퍼스측량에서 전시로 시준한 방위가 N37°E 일 때 후시로 시준한 역방위는?
78번
임도의 설계속도가 30km/h, 외쪽기울기는 5%, 타이어의 마찰계수가 0.15일 때 최소곡선 반지름은?
79번
임도 교량에 영향을 주는 활하중에 해당하는 것은?
80번
임도의 종단면도에 기입하지 않는 사항은?
5과목 : 사방공학
81번
해안의 모래언덕이 발달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82번
산지사방에서 기초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3번
잔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4번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
85번
땅깎기비탈면의 토질별 안정공법으로 가장 적정하게 연결된 것은?
86번
사방 녹화용 식물재료로 재래 초본류가 아닌 것은?
87번
황폐지의 진행 순서로 옳은 것은?
88번
대상지 1ha에 15° 경사로 1.0m 높이의 단끊기공을 시공할 때 평면적법에 의한 계단 길이는?
89번
산지사방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0번
수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1번
계류의 바닥 폭이 3.8m, 양안의 경사각이 모두 45° 이고, 높이가 1.2m 일 때의 계류 횡당면적(m2)은?
92번
토사유과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93번
임지에 도달한 강우의 침투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4번
일반적인 모래막이 공작물의 평면형상이 아닌 것은?
95번
증발산 중에서 식생으로 피복된 지면으로부터의 증발량과 증산량만을 무엇이라 하는가?
96번
사방댐의 방수면에 설치하는 물받이 길이는 일반적으로 댐높이와 월류수심 합의 몇 배로 하는 것이 좋은가?
97번
빗물에 의한 침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8번
선떼붙이기 공법에서 가장 윗부분에 사용되는 떼의 명칭은?
99번
돌골막이를 시공할 때 돌쌓기의 기울기 기준은?
100번
비탈면 안정 평가를 위해 안전율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