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0년05월09일 82번

[건설안전기술] 점착성이 있는 흙의 함수량을 변화시킬 때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의 상태로 변화하는 흙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간극비
  • ② 연경도
  • ③ 예민비
  • ④ 포화도
(정답률: 69%)

문제 해설

정답은 "연경도"입니다.

점착성이 있는 흙의 함수량을 변화시키면 흙의 입체 구조가 변화하게 되어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의 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때, 흙 입체 구조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연경도입니다. 연경도는 흙 입체 구조의 변화에 따라 흙의 응력 변화를 나타내는데, 흙이 더 많이 압축될수록 연경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경도가 높은 흙은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져 소성성이 높아지고, 연경도가 낮은 흙은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져 액성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