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03월08일 26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0세 이후 노화에 의한 인체의 시지각 능력 변화로 틀린 것은?
- ① 근시력 저하
- ②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 ③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
- ④ 수정체 변색
(정답률: 58%)
문제 해설
정답은 **③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입니다.
40세 이후 노화에 의한 인체의 시지각 능력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근시력 저하: 수정체의 탄력성이 감소하여 가까운 물체를 볼 때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
*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밝은 빛에 대한 눈의 적응 능력이 감소하여 야간 운전이나 야외 작업 시 눈부심 현상이 심해지는 현상
* 수정체 변색: 수정체의 색소가 증가하여 빛의 투과율이 감소하여 시야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는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원인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인 변화는 아닙니다. 수정체의 변색으로 인해 빛의 투과율이 감소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③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는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결과이지 직접적인 변화는 아니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① 근시력 저하**, **②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④ 수정체 변색**은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직접적인 변화로 옳은 설명입니다.
40세 이후 노화에 의한 인체의 시지각 능력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근시력 저하: 수정체의 탄력성이 감소하여 가까운 물체를 볼 때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
*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밝은 빛에 대한 눈의 적응 능력이 감소하여 야간 운전이나 야외 작업 시 눈부심 현상이 심해지는 현상
* 수정체 변색: 수정체의 색소가 증가하여 빛의 투과율이 감소하여 시야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는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원인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인 변화는 아닙니다. 수정체의 변색으로 인해 빛의 투과율이 감소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③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는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결과이지 직접적인 변화는 아니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① 근시력 저하**, **②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④ 수정체 변색**은 노화로 인한 시지각 능력 변화의 직접적인 변화로 옳은 설명입니다.
연도별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