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08월21일 69번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인체가 전격(감전)으로 인한 사고 시 통전전류에 의한 인체반응으로 틀린 것은?
- ① 교류가 직류보다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
- ② 주파수가 높아지면 감지전류는 작아진다.
- ③ 심장을 관통하는 경로가 가장 사망률이 높다.
- ④ 가수전류는 불수전류보다 값이 대체적으로 작다.
(정답률: 58%)
문제 해설
정답은 **② 주파수가 높아지면 감지전류는 작아진다.**입니다.
감지전류는 인체가 통전전류를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감지전류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지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지면 감지전류는 작아진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① 교류가 직류보다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
교류는 직류보다 심장박동에 영향을 미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③ 심장을 관통하는 경로가 가장 사망률이 높다.**
심장을 관통하는 경로는 전류가 심장 근육을 직접 자극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정지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 **④ 가수전류는 불수전류보다 값이 대체적으로 작다.**
가수전류는 피부가 젖은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불수전류는 피부가 건조한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가수전류는 불수전류보다 값이 대체적으로 작습니다. 이는 피부가 젖으면 인체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감지전류는 인체가 통전전류를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감지전류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지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지면 감지전류는 작아진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① 교류가 직류보다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
교류는 직류보다 심장박동에 영향을 미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③ 심장을 관통하는 경로가 가장 사망률이 높다.**
심장을 관통하는 경로는 전류가 심장 근육을 직접 자극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정지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 **④ 가수전류는 불수전류보다 값이 대체적으로 작다.**
가수전류는 피부가 젖은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불수전류는 피부가 건조한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입니다. 가수전류는 불수전류보다 값이 대체적으로 작습니다. 이는 피부가 젖으면 인체의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연도별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