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기능사

2015년04월04일 6번

[식품화학]
어떤 식품 25g을 연소시켜서 얻어진 회분을 녹여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이를 0.1N NaOH로 중화하는데 20mL가 소요되었다면 이 식품의 산도는? (단, 식품 100g을 기준으로 한다.)

  • ① 산도 50
  • ② 산도 60
  • ③ 산도 75
  • ④ 산도 80
(정답률: 65%)

문제 해설

25g의 식품을 연소시켜 얻어진 회분을 녹여 수용액으로 만들었으므로, 이 수용액 1g은 식품 4g에 해당한다. 따라서, 식품 100g에 해당하는 수용액의 양은 400mL이다. 이 수용액을 0.1N NaOH로 중화하기 위해 20mL가 소요되었으므로, 1L(=1000mL)의 수용액에 5mL의 0.1N NaOH가 소요된다.

산도는 1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으로 나타내는데,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1L의 수용액에 5mL의 0.1N NaOH가 소요되므로, 1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은 5/1000 = 0.005mL이다. 따라서, 100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은 0.005 x 100 = 0.5mL이다.

산도는 100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으로 나타내므로, 산도는 0.5mL의 0.1N NaOH를 100g의 식품이 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산도는 0.5 x 10 = 5로 계산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산도를 50, 60, 75, 80 중 하나로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 중에서 산도가 5에 해당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산도가 50이라면 100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5mL의 0.1N NaOH가 필요하므로, 1mL의 0.1N NaOH가 10g의 식품을 중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산도가 80인 것이 가장 적절하다. 산도가 80이라면 100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0.4mL의 0.1N NaOH가 필요하므로, 1mL의 0.1N NaOH가 250g의 식품을 중화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구한 1g의 식품이 중화되기 위해 필요한 NaOH의 양인 0.005mL에 해당하므로, 산도가 80이 맞는 것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