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6년05월08일 21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사고의 발단이 되는 초기 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이 시스템에서 어떤 결과(정상 또는 고장)로 진전해 가는지를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은?

  • ① FTA
  • ② PHA
  • ③ FHA
  • ④ ETA
(정답률: 50%)

문제 해설

정답은 **④ ETA**입니다.

FTA(Fault Tree Analysis),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 FHA(Functional Hazard Analysis)는 모두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FTA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트리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이고, PHA는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방법이며, FHA는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ETA(Event Tree Analysis)는 **사고의 발생과 결과를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사고의 발단이 되는 초기 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이 시스템에서 어떤 결과(정상 또는 고장)로 진전해 가는지를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은 ETA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ETA**입니다.

정확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FTA(Fault Tree Analysis)**

* **정의** : 사고의 원인을 트리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
* **특징**
*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트리 형태로 분석
* 사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에 유리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

* **정의** :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방법
* **특징**
*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
*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음

**FHA(Functional Hazard Analysis)**

* **정의** :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방법
* **특징**
*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사고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
* FTA와 PHA의 장점을 결합한 방법

**ETA(Event Tree Analysis)**

* **정의** : 사고의 발생과 결과를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형태로 분석하는 방법
* **특징**
* 사고의 발생과 결과를 나뭇가지가 갈라지는 형태로 분석
* 사고의 발생 확률과 결과를 예측하기에 유리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