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2015년05월31일 41번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측정에 있어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이 200mg/L라고 추정된다. 이 때 0.025N KMnO4 용액의 소비량은 5.2mL 이고 공시험치는 0.2mL이다. 시료 몇 mL를 사용해서 시험하는 것이 적절한가? (단, 산성 100℃에서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산소요구량, f=1)

  • ① 약 35
  • ② 약 25
  • ③ 약 15
  • ④ 약 5
(정답률: 42%)

문제 해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200mg/L이므로, 1L의 폐수에 200mg의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료의 부피를 V(L)이라고 하면, 시료에 포함된 산소량은 200V(mg)가 된다.

0.025N KMnO4 용액 1mL이 소비되면, 0.025g의 KMnO4이 소비된 것이므로, 이 용액 1L이 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200/0.025 = 8000mL = 8L의 용액이 필요하다.

공시험치는 0.2mL이므로, 실제로는 5.2-0.2 = 5mL의 용액이 소비된 것이다. 따라서 시료의 부피 V(L)에 대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0.025 x 5 x V = 8

V = 8 / (0.025 x 5) = 64

즉, 시료의 부피는 약 64L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약 5"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