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7년05월07일 65번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의 접속에 관한 일반사항으로 틀린 것은?

  • ① 분기회로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 ② 동작시간은 0.03초 이내이어야 한다.
  • ③ 전기기계·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이어야 한다.
  • ④ 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다.
(정답률: 69%)

문제 해설

정답은 **4번 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다.**입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4조 제1항에 따르면, 감전위험이 있는 전기기기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제2항에 따르면, 누전차단기는 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기마다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4번 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다.**는 것은 잘못된 내용입니다. 누전차단기는 분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여야 합니다.

다른 답안의 경우,

* **1번 분기회로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는 것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것으로, 맞는 내용입니다.
* **2번 동작시간은 0.03초 이내이어야 한다.**는 것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것으로, 맞는 내용입니다.
* **3번 전기기계·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휴가 30mA 이하이어야 한다.**는 것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것으로, 맞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의 접속에 관한 일반사항으로 틀린 것은 **4번 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다.**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