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7년05월07일 73번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빨라 파면 선단에 충격파가 형성되며 보통 그 속도가1000 ~ 3500m/s에 이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폭발현상
  • ② 폭굉현상
  • ③ 파괴현상
  • ④ 발화현상
(정답률: 81%)

문제 해설

정답은 2번 폭굉현상입니다.

폭굉현상은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파면 선단에 충격파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보통 그 속도가 1000 ~ 3500m/s에 이릅니다. 폭굉현상은 폭발현상의 일종으로, 매우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켜 주변 시설물 및 인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빨라 파면 선단에 충격파가 형성되며 보통 그 속도가 1000 ~ 3500m/s에 이르는 현상을 폭굉현상이라고 합니다.

나머지 답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닙니다.

* ① 폭발현상은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 ③ 파괴현상은 폭발현상 중에서도 매우 강력한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④ 발화현상은 연소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염의 전파속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