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3년03월10일 99번

[건설안전기술] 사질지반에 흙막이를 하고 터파기를 실시하면 지반수위와 터파기 저면과의 수위차에 의해 보일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흙막이 벽의 저면타입깊이를 크게 한다.
  • ② 차수성이 높은 흙막이벽을 사용한다.
  • ③ 웰포인트로 지하수면을 낮춘다.
  • ④ 주동토압을 크게한다.
(정답률: 45%)

문제 해설

## 2013년 3월 10일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 문제 해설: 사질지반 터파기 보일링 현상 방지

**문제:** 사질지반에 흙막이를 하고 터파기를 실시하면 지반수위와 터파기 저면과의 수위차에 의해 보일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보일링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선택지:**

1. 흙막이 벽의 저면 타입 깊이를 크게 한다.
2. 차수성이 높은 흙막이 벽을 사용한다.
3. 웰포인트로 지하수면을 낮춘다.
4. **주동토압을 크게 한다.**

**해설:**

**4번, 주동토압을 크게 한다.**는 사질지반 터파기에서 보일링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보일링 현상:**

* 지반수위가 터파기 저면보다 높을 때 발생
* 지하수압에 의해 흙막이 벽 뒤쪽 지반이 솟아오르는 현상
* 흙막이 벽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

**보일링 현상 방지 방법:**

* **흙막이 벽의 저면 타입 깊이를 크게 한다.**
* **차수성이 높은 흙막이 벽을 사용한다.**
* **웰포인트로 지하수면을 낮춘다.**

**주동토압 증가의 영향:**

* 흙막이 벽에 가해지는 토압이 증가하여 흙막이 벽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오히려 보일링 현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www.kosha.or.kr/](https://www.kosha.or.kr/)
* 한국토목학회: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Improvement notes:**

* Clarified why option 4 is not a correct method to prevent boiling phenomenon.
* Explained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the active earth pressure.
*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s.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