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8년04월28일 99번

[건설안전기술]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최소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도록 할 것
  • ② 동바리의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것
  • ③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이나 장부이음으로 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 ④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할 것
(정답률: 69%)

문제 해설

정답은 **(1)번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최소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도록 할 것**입니다.

파이프 서포트는 동바리의 하부 지지에 사용되는 부재로, 단일 부재로 사용할 경우 파이프의 무게와 상부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프 서포트는 최소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1)번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최소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도록 할 것**은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습니다.

다른 답안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2)번 동바리의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것**은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준수사항입니다. 동바리는 콘크리트의 무게와 상부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3)번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이나 장부이음으로 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은 거푸집동바리 등의 이음 부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준수사항입니다.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이나 장부이음으로 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이음 부위의 균일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4)번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할 것**은 강재와 강재의 접속 부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준수사항입니다. 강재와 강재의 접속 부위는 볼트ㆍ클램프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하여 강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