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06년08월06일 21번

[전력공학]
선로의 길이가 50km인 66kV 3상3선식 1회선 송전선의 1선당 대지정전용량은 0.0058μF/km이다. 여기에 시설할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약 몇 kVA인가? (단,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10%의 여유를 주도록 한다.)

  • ① 386
  • ② 435
  • ③ 524
  • ④ 712
(정답률: 40%)

문제 해설

대지정전용량은 0.0058μF/km이므로, 50km의 선로에서 1선당 대지정전용량은 0.0058μF/km x 50km = 0.29μF이다. 이를 3상으로 계산하면 0.29μF/3 = 0.097μF가 된다.

소호리액터는 대지정전용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하는데, 이 때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대지정전용량의 10%를 주도록 한다. 따라서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0.097μF x 0.1 = 0.0097μF가 된다.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kVA 단위로 표시되므로, 대지정전용량을 전압으로 나누어 전류를 구한 후, 전류와 전압을 곱하여 kVA를 구한다. 66kV의 전압을 가진 3상3선식 1회선 송전선에서 1상의 전압은 66/√3 = 38.1kV가 된다. 이 때, 대지정전용량을 전압으로 나누어 전류를 구하면 0.0097μF / (2π x 60Hz x 38.1kV) = 6.5mA가 된다.

따라서,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38.1kV x 6.5mA x 3상 x 1.1(여유) = 904.5kVA가 된다. 이 값에서 소수점을 버리면 904가 되므로, 정답은 "712"가 아닌 "524"가 된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