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03월07일 1번
[전기자기학] 자계분포 H =xy j -xz k [A/m]를 발생시키는 점(1,1,1)[m] 에서의 전류밀도는 몇 A/m2 인가?
- ① 2
- ② 3
- ③ √2
- ④ √3
(정답률: 53%)
문제 해설
이전 문제
다음 문제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8월14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7월26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7월2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8월05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8월06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8월07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8월08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
- 2003년08월10일
- 2003년05월25일
- 2003년03월16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
전기유도도 E는 로렌츠력의 비례상수인 자기유도계수 L과 자기장 H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유도도 E를 구하려면 자기유도계수 L을 구해야 한다.
자기유도계수 L은 자기장 H를 발생시키는 전류 I가 1A일 때의 자기에너지 W를 전류 I로 미분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자기에너지 W를 구하고, 이를 전류 I로 미분하여 자기유도계수 L을 구할 수 있다.
자기에너지 W는 자기장 H의 크기와 부피적분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 H의 크기를 구하고, 이를 부피적분하여 자기에너지 W를 구할 수 있다.
자계분포 H =xy j -xz k [A/m]는 x, y, z 세 방향 모두에 대해 성분이 있는 벡터이므로, 자기장 H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Hx^2 + Hy^2 + Hz^2)
= √(x^2y^2 + x^2z^2)
= x√(y^2 + z^2)
따라서 점 (1,1,1)에서의 자기장 H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H| = 1√(1^2 + 1^2)
= √2 [A/m]
자기에너지 W는 부피적분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부피적분은 적분 구간 내에서 변수를 모두 적분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전체 공간을 적분해야 한다. 따라서 자기에너지 W는 다음과 같다.
W = ∫∫∫ H^2/2μ dV
= ∫∫∫ (x^2y^2 + x^2z^2)/2μ dV
= ∫0^1 ∫0^1 ∫0^1 (x^2y^2 + x^2z^2)/2μ dx dy dz
= 1/6μ
여기서 μ는 자기유도계수 L과 관련된 비례상수인 자기적률이다.
자기유도계수 L은 자기에너지 W를 전류 I로 미분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자기유도계수 L은 다음과 같다.
L = dW/dI
= 1/6μ
전기유도도 E는 자기유도계수 L과 자기장 H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점 (1,1,1)에서의 전기유도도 E는 다음과 같다.
E = L|H|
= (1/6μ)√2 [V/m]
전류밀도 J는 자계분포 H와 전기유도도 E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점 (1,1,1)에서의 전류밀도 J는 다음과 같다.
J = H×E/μ
= (xy j - xz k)×(Ez i + Ex k)/μ
= (xEx + zEz) j + (xEx - yEz) k/μ
= (√2/6) j + (-√2/6) k [A/m^2]
따라서 정답은 "√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