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4년03월02일 14번

[산업안전관리론]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별안전⋅보건교육에 있어 대상작업별 교육내용 중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에 대한 교육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기타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 ①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 ②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 ③ 보호구 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 ④ 사고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
(정답률: 81%)

문제 해설

정답은 **②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밀폐공간 작업에서의 위험은 산소결핍, 유해가스 중독, 폭발, 화재 등입니다. 따라서, 밀폐공간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는 산소농도측정, 보호구 착용, 사고 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입니다.

반면,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중 하나이지만, 밀폐공간 작업의 전제 조건은 아닙니다. 즉, 밀폐공간 작업이 아니더라도 유해물질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밀폐공간 작업의 안전을 위한 교육 내용 중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소결핍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 내용입니다.
* **보호구 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 중독, 폭발,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내용입니다.
* **사고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 내용입니다.

이 중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밀폐공간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중 하나이지만, 밀폐공간 작업의 전제 조건은 아닙니다. 따라서, 밀폐공간 작업의 안전을 위한 교육 내용 중 유해물질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