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4년03월02일 65번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옥내배선 중 누전으로 인한 화재방지를 위해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는 것은?

  • ① 배선불량시 재시공 할 것
  • ② 배선로 상에 단로기를 설치할 것
  • ③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할 것
  • ④ 정기적으로 배선시공 상태를 확인할 것
(정답률: 62%)

문제 해설

## 2014년 3월 2일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 문제 해설: 옥내 배선 누전 화재 방지

**정답은 2번 배선로 상에 단로기를 설치할 것**입니다.

**2번이 틀린 이유:**

* **단로기는 과부하에 의한 화재 예방에는 효과적이지만, 누전으로 인한 화재 예방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습니다.**

**해설:**

1. **누전 화재 예방:**

* 누전 차단기 설치: 누전 발생 시 전원 차단하여 화재 예방
* 접지 시스템 구축: 누전 전류를 안전하게 지구로 방출
* 절연 관리: 배선의 절연 상태 유지
* 과부하 방지: 배선 용량 초과 방지

2. **각 선택지 설명:**

* **① 배선불량시 재시공 할 것:** 옳음, 불량 배선은 누전 위험 증가, 재시공 필요
* **② 배선로 상에 단로기를 설치할 것:** 틀림, 단로기는 과부하 방지용, 누전 방지 효과 없음
* **③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할 것:** 옳음, 절연 저하 확인 및 누전 위험 예측
* **④ 정기적으로 배선시공 상태를 확인할 것:** 옳음, 배선 노후화 및 손상 확인, 안전 관리

3. **결론:**

* 누전 화재 예방에는 누전 차단기 설치, 접지 시스템 구축, 절연 관리, 과부하 방지 등의 조치 필요
* 정기적인 점검 및 관리 통해 누전 위험 사전에 예방

**참고:**

* 산업안전보건공단 고시 제2011-10호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서 옥내 배선 안전 관련 자료 확인 가능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른 질문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추가 정보:**

* 단로기는 과부하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여 과부하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누전은 전류가 누출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단로기는 누출되는 전류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누전으로 인한 화재 예방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습니다.
* 누전 차단기는 누전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누전 차단기는 누출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접지 시스템은 누전 전류를 안전하게 지구로 방출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고 화재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접지 시스템은 누전 전류가 사람이나 건물을 통하지 않고 지구로 방출되도록 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고 화재 발생 가능성을 낮춥니다.
* 절연 관리 또한 누전 화재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배선의 절연 상태가 양호하면 누전 발생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정기적인 점검 및 관리를 통해 배선의 절연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과부하 방지 또한 누전 화재 예방에 중요합니다. 배선 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과열로 인해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배선 용량에 맞게 사용하고 과부하 방지를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