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2009년03월01일 20번

[수질오염개론]
유기물 측정지표를 이론적으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가장 적절히 나타낸 것은?

  • ① ThOD > BODu > CODcr > BOD5> TOD
  • ② ThOD > CODcr > TOD > BODu > BOD5
  • ③ ThOD > TOD > CODcr > BODu > BOD5
  • ④ ThOD > CODcr > BODu > TOD > BOD5
(정답률: 알수없음)

문제 해설

유기물 측정지표는 유기물의 산화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적절히 나타내면 ThOD(총 산화 요구량) > TOD(총 산소 요구량) > CODcr(화학적 산소 요구량) > BODu(미분해성 유기물 산소 요구량) > BOD5(5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다. 이는 ThOD가 가장 큰 값으로, 총 산화 요구량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TOD는 산화와 관련된 총 산소 요구량으로, CODcr보다는 크지만 ThOD보다는 작다. CODcr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BODu보다는 크지만 TOD나 ThOD보다는 작다. BODu는 미분해성 유기물 산소 요구량으로, BOD5보다는 크지만 TOD나 ThOD보다는 작다. BOD5는 5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모든 지표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