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2009년03월01일 34번

[수질오염방지기술]
어느 식품공장의 폐수를 호기성 생물처리법으로 처리하고자 수질을 분석한 결과 질소분이 없어 요소를 가하였다. 얼마의 주입량(요소)이 필요한가? (단, 폐수수질은 pH : 6.8, SS : 80mg/L, BOD : 2500mg/L, 인 : 30mg/L, 전질소 : 0, 요소 : (NH2)2CO, BOD:N:P = 100:5:1 기준)

  • ① 약 230mg/L
  • ② 약 250mg/L
  • ③ 약 270mg/L
  • ④ 약 290mg/L
(정답률: 알수없음)

문제 해설

주어진 폐수의 BOD:N:P 비율은 100:5:1 이므로, 질소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질소분을 가해줘야 한다. 이때 가해해야 하는 질소분은 인과 비례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의 농도가 30mg/L 이므로, 이에 맞게 요소를 가해주어야 한다. 요소(NH2)2CO 의 분자량은 60이므로, 1L의 폐수에 30mg/L의 인을 가하려면 (30mg/L) / (5mg/L) x 60 = 360mg/L의 요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BOD:N:P 비율이 100:5:1 이므로, 이 비율에 맞게 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요소의 가해량은 (360mg/L) x (5/100) = 18m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70mg/L" 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