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05년08월07일 69번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R-L-C 직렬회로의 과도상태에서 저항의 값이 다음의 어느 값일 때 진동이 되는가?

(정답률: 42%)

문제 해설

정답은 "" 이다.

R-L-C 직렬회로에서 과도상태에서 진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총 임피던스의 허수부분이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_L - X_C = 0

2πfL - 1/(2πfC) = 0

f^2 = 1/(4π^2LC)

여기서 f는 회로의 고유진동수를 나타내며, L은 인덕턴스, C는 캐패시턴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고유진동수는 L과 C의 곱에 반비례하게 된다.

여기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는 L과 C의 곱이 일정한 값인 1/4π^2이 되도록 R의 값을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고유진동수가 일치하게 되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