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05월25일 81번
[건설안전기술]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히빙(heaving)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흙막이 벽체 내⋅외의 토사의 중량차에 의해 발생한다.
- ②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굴착면의 융기로 발생한다.
- ③ 연약한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한다.
- ④ 흙막이벽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
(정답률: 58%)
문제 해설
## 2014년 5월 25일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 문제 해설: 히빙 현상
**문제:**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히빙(heaving)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일까요?
**선택지:**
1. 흙막이 벽체 내⋅외의 토사의 중량차에 의해 발생한다.
2.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굴착면의 융기로 발생한다.
3. **연약한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한다. (정답)**
4. 흙막이벽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
**해설:**
**3번 선택지, 연약한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히빙 현상:**
* 흙막이 벽체 설치 후 흙막이 벽체 외부 토사의 중량으로 인해 흙막이 벽체가 지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주로 발생**하며, 흙막이 벽체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하거나 지반 수압이 높은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참고:**
* **히빙 현상:**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흙막이 가시설:**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Improvement notes:**
* Clarified that option 3 is incorrect because heaving occurs mainly in soft clay soils, not in soft sandy soils.
* Added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heaving, such as the type of soil, the depth of the excavation, and the groundwater pressure.
* Described the different types of retaining walls, such as gravity walls, cantilever walls, and anchored walls.
*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to prevent heaving.
**Improvement notes:**
* Adde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methods used to prevent heaving, such as using deep foundations, dewatering, and soil reinforcement.
* Described the latest trends and technologies in retaining wall design and construction, such as the use of geosynthetics and numerical modeling.
* Provided tips for inspecting and maintaining retaining walls, such as monitoring for signs of heaving and cracking.
*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with a qualified geotechnical engineer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문제:**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히빙(heaving)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일까요?
**선택지:**
1. 흙막이 벽체 내⋅외의 토사의 중량차에 의해 발생한다.
2.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굴착면의 융기로 발생한다.
3. **연약한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한다. (정답)**
4. 흙막이벽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
**해설:**
**3번 선택지, 연약한 사질토 지반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히빙 현상:**
* 흙막이 벽체 설치 후 흙막이 벽체 외부 토사의 중량으로 인해 흙막이 벽체가 지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주로 발생**하며, 흙막이 벽체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하거나 지반 수압이 높은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참고:**
* **히빙 현상:**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흙막이 가시설:**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Improvement notes:**
* Clarified that option 3 is incorrect because heaving occurs mainly in soft clay soils, not in soft sandy soils.
* Added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heaving, such as the type of soil, the depth of the excavation, and the groundwater pressure.
* Described the different types of retaining walls, such as gravity walls, cantilever walls, and anchored walls.
*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to prevent heaving.
**Improvement notes:**
* Adde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methods used to prevent heaving, such as using deep foundations, dewatering, and soil reinforcement.
* Described the latest trends and technologies in retaining wall design and construction, such as the use of geosynthetics and numerical modeling.
* Provided tips for inspecting and maintaining retaining walls, such as monitoring for signs of heaving and cracking.
*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with a qualified geotechnical engineer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연도별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