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7년08월26일 31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좌식 평면 작업대에서의 최대 작업영역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① 각 손의 정상작업영역 경계선이 작업자의 정면에서 교차되는 공통영역
  • ② 윗팔과 손목을 중립자세로 유지한 채 손으로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 영역
  • ③ 어깨로부터 팔을 펴서 어깨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상에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 지역
  • ④ 자연스러운 자세로 위팔을 몸통에 붙인 채 손으로 수평면상에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지역
(정답률: 70%)

문제 해설

정답은 **③ 어깨로부터 팔을 펴서 어깨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상에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 지역**입니다.

좌식 평면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때, 작업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최대 작업영역이라고 합니다. 최대 작업영역은 작업자의 신체 조건, 작업대의 높이, 작업자의 작업 자세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③번 설명은 어깨로부터 팔을 펴서 어깨를 축으로 하여 수평면상에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 설명은 작업자의 어깨가 움직이지 않고, 팔만 움직이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좌식 평면 작업대에서 작업할 때의 최대 작업영역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른 답안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틀립니다.**

* **①번 설명은 각 손의 정상작업영역 경계선이 작업자의 정면에서 교차되는 공통영역이라고 합니다. 이 설명은 정상작업영역을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정상작업영역은 작업자가 가장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상작업영역 경계선은 작업자의 정면에서 교차하지 않습니다.**
* **②번 설명은 윗팔과 손목을 중립자세로 유지한 채 손으로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 영역이라고 합니다. 이 설명은 작업자의 손목이 움직이지 않고, 윗팔만 움직이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좌식 평면 작업대에서 작업할 때의 최대 작업영역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 **④번 설명은 자연스러운 자세로 위팔을 몸통에 붙인 채 손으로 수평면상에 원을 그릴 때, 부채꼴 원호의 내부지역이라고 합니다. 이 설명은 작업자의 어깨와 팔이 모두 움직이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좌식 평면 작업대에서 작업할 때의 최대 작업영역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