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7년08월26일 40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정신적 작업부하 척도와 가장거리가 먼 것은?

  • ① 부정맥
  • ② 혈액성분
  • ③ 점멸융합주파수
  • ④ 눈 깜 박임률
(정답률: 74%)

문제 해설

정답은 **2번 혈액성분**입니다.

정신적 작업부하는 작업자의 인지적, 주의적, 정서적 요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신적 작업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지적, 주의적, 정서적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성분은 신체적 작업부하와 관련이 있는 척도입니다. 신체적 작업부하가 증가하면 혈액 중의 호르몬, 대사물질, 에너지원 등의 농도가 변화합니다. 따라서, 혈액성분은 신체적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액성분은 정신적 작업부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혈액성분은 정신적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데 적합한 척도가 아닙니다.

다른 답안의 경우,

* **1번 부적맥**은 심박수의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부적맥은 정신적 작업부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맥은 정신적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 **3번 점멸융합주파수**는 깜박이는 빛을 볼 때 깜박임이 느껴지지 않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점멸융합주파수는 정신적 작업부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점멸융합주파수는 정신적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 **4번 눈 깜박임률**은 눈을 깜빡이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눈 깜박임률은 정신적 작업부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눈 깜박임률은 정신적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 혈액성분**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