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5년05월31일 20번

[산업안전관리론] 다음 중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은?

  • ① safe-T-score
  • ② 평균강도율
  • ③ 종합재해지수
  • ④ 안전활동률
(정답률: 79%)

문제 해설

정답은 **(1) Safe-T-score**입니다.

Safe-T-score는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Safe-T-score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afe-T-score = (현재의 빈도율 - 과거의 빈도율) / SQRT(과거의 빈도율 / 총근로시간수 * 1,000,000)


Safe-T-score가 1.0 이상이면 안전관리가 과거보다 개선되었음을 나타내고, -1.0 이하이면 안전관리가 과거보다 악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것은 **Safe-T-score**입니다.

다른 보기들의 경우,

* **평균강도율**은 재해건수에 비례하여 근로손실일수를 감안한 지표입니다.
* **종합재해지수**는 재해건수와 근로손실일수를 조합한 지표입니다.
* **안전활동률**은 안전활동 건수에 대한 근로시간의 비율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Safe-T-score와 같이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제공되지는 않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