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5년05월31일 45번

[기계위험방지기술] 다음 중 연삭 작업 중 숫돌의 파괴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
  • ② 숫돌의 회전 중심이 잡히지 않았을 때
  • ③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할 때
  • ④ 플랜지의 직경이 현저히 작을 때
(정답률: 82%)

문제 해설

정답은 1번입니다.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는 숫돌의 파괴원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숫돌의 파괴는 주로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하거나, 숫돌의 회전 중심이 잡히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리면 숫돌이 제대로 연삭되지 않고, 숫돌 자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숫돌이 파괴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연삭 작업 중 숫돌의 파괴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입니다.

다른 보기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닙니다.

* ② 숫돌의 회전 중심이 잡히지 않았을 때: 숫돌의 회전 중심이 잡히지 않으면 숫돌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숫돌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 ③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할 때: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하면 숫돌의 내부 결합이 손상되어 숫돌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 ④ 플랜지의 직경이 현저히 작을 때: 플랜지의 직경이 현저히 작으면 숫돌의 회전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숫돌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