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03월06일 29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드는 작업의 부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NIOSH 들기지수를 적용할 때 고려되지 않는 항목은?
- ① 들기빈도
- ② 수평이동거리
- ③ 손잡이 조건
- ④ 허리 비틀림
(정답률: 64%)
문제 해설
**문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드는 작업의 부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NIOSH 들기지수를 적용할 때 고려되지 않는 항목은?
**정답**
2. 수평이동거리
**해설**
NIOSH 들기지수는 중량물의 무게, 들기 높이, 허리 비틀림, 손잡이 조건, 들기 빈도 등 5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평이동거리는 고려되지 않는 항목입니다.
다른 보기는 모두 NIOSH 들기지수에서 고려하는 항목입니다.
* **들기빈도** : 중량물을 드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 **손잡이 조건** : 손잡이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의미합니다.
* **허리 비틀림** : 중량물을 드는 과정에서 허리가 비틀리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 수평이동거리**입니다.
NIOSH 들기지수는 중량물을 드는 작업으로 인한 요통 발생 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지수를 이용하여 작업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드는 작업의 부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NIOSH 들기지수를 적용할 때 고려되지 않는 항목은?
**정답**
2. 수평이동거리
**해설**
NIOSH 들기지수는 중량물의 무게, 들기 높이, 허리 비틀림, 손잡이 조건, 들기 빈도 등 5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평이동거리는 고려되지 않는 항목입니다.
다른 보기는 모두 NIOSH 들기지수에서 고려하는 항목입니다.
* **들기빈도** : 중량물을 드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 **손잡이 조건** : 손잡이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의미합니다.
* **허리 비틀림** : 중량물을 드는 과정에서 허리가 비틀리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 수평이동거리**입니다.
NIOSH 들기지수는 중량물을 드는 작업으로 인한 요통 발생 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지수를 이용하여 작업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