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8년03월04일 30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FTA의 활용 및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 ① 시스템의 결함 진단
  • ② 사고원인 규명화의 간편화
  • ③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 ④ 시스템의 결함 비용 분석
(정답률: 74%)

문제 해설

정답은 **4번 시스템의 결함 비용 분석**입니다.

FTA는 **Fault Tree Analysis**의 약자로, **결함나무분석**이라고 합니다. FTA는 시스템의 결함을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표현하여, 사고의 발생원인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FTA의 활용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스템의 결함 진단** : FTA를 통해 시스템의 결함을 진단하고,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사고원인 규명화의 간편화** : FTA를 통해 사고의 발생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할 수 있습니다.
*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 FTA를 통해 사고원인의 발생확률과 영향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결함 비용 분석**은 FTA의 활용 및 기대효과가 아닌 것입니다. FTA는 사고의 발생원인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결함의 비용과 같은 결과에 대한 분석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FTA의 활용 및 기대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시스템의 결함 진단 및 원인 규명**
* **사고원인의 발생확률과 영향도 분석**
* **사고예방 및 안전성 향상**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