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8년03월04일 85번

[건설안전기술]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① R.Q.D
  • ② RMR 분류
  • ③ 탄성파 속도
  • ④ 하중계(Load Cell)
(정답률: 65%)

문제 해설

정답은 **4번, 하중계(Load Cell)**입니다.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은 크게 **지질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으로 구분됩니다.

**지질학적 방법**은 암석의 종류, 암석의 구조, 암석의 파쇄 정도 등을 조사하여 암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R.Q.D(Rock Quality Designation)는 암석의 파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발파공사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질학적 암질 판별방법입니다. RMR(Rock Mass Rating)은 암석의 종류, 암석의 구조, 암석의 파쇄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암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물리적 방법**은 암석의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여 암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탄성파 속도는 암석의 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발파공사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리적 암질 판별방법입니다.

하중계는 암석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장비로, 암질 판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4번**은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과 거리가 먼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답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번, R.Q.D**는 암석의 파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발파공사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질학적 암질 판별방법입니다. 따라서,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2번, RMR**는 암석의 종류, 암석의 구조, 암석의 파쇄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암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3번, 탄성파 속도**는 암석의 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발파공사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리적 암질 판별방법입니다. 따라서, 발파공사 암질 변화구간 및 이상암질 출현 시 적용하는 암질 판별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