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8년03월04일 50번

[기계위험방지기술] 다음중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떄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 ②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 ③ 과열에 따른 과열이 예산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
  • ④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정답률: 76%)

문제 해설

정답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덮개 또는 울은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고 예방 효과가 높습니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가공물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톱날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위의 위험 요소 중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은 근로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하여 위험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다른 위험 요소에 비해 근로자에게 가까이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구체적인 해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이 부분은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가장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야 합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이 부분도 가공물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이 부분은 톱날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