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03월04일 50번
[기계위험방지기술] 다음중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떄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 ②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 ③ 과열에 따른 과열이 예산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
- ④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정답률: 76%)
문제 해설
정답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덮개 또는 울은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고 예방 효과가 높습니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가공물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톱날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위의 위험 요소 중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은 근로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하여 위험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다른 위험 요소에 비해 근로자에게 가까이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구체적인 해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이 부분은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가장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야 합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이 부분도 가공물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이 부분은 톱날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덮개 또는 울은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고 예방 효과가 높습니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가공물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톱날이 이 부분에서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습니다.
위의 위험 요소 중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은 근로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하여 위험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다른 위험 요소에 비해 근로자에게 가까이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구체적인 해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이 부분은 가공물이나 공구가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가장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야 합니다.
*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화고 있는 가공물 부금**
이 부분도 가공물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 부위**
이 부분은 톱날이 이탈하여 근로자에게 날아들 수 있는 위험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과 덮개 또는 울의 거리도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번, 과열에 따른 화상이 우려되는 보일러의 버너 연소실**입니다.




연도별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