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2018년03월04일 55번

[기계위험방지기술] 보일러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위에 거품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은?

  • ① 프라이밍(priming)
  • ② 포밍(foaming)
  • ③ 캐리오버(carry over)
  • ④ 위터해머(water hammer)
(정답률: 83%)

문제 해설

정답은 **2번 포밍(foaming)**입니다.

프라이밍(priming)은 보일러수의 수위가 높아져서 수면에서 작은 물방울이 증기와 혼합하여 드럼 밖으로 튀어오르는 현상입니다. 캐리오버(carry over)는 보일러수 중에 용해되고 부유하고 있는 고형물이나 물방울이 보일러에서 생산되는 증기에 혼입되어 보일러 외부로 운반되는 현상입니다. 위터해머(water hammer)는 급격한 수압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 현상입니다.

보일러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위에 거품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은 포밍(foam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

* 보일러의 이상현상
* 프라이밍(priming)
* 포밍(foaming)
* 캐리오버(carry over)
* 위터해머(water hammer)

* 포밍(foaming)
* 보일러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위에 거품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
* 보일러수의 증기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면부위에 거품이 형성되고, 거품이 증기와 함께 보일러 밖으로 배출됨
* 보일러수의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증기의 건도를 저하시켜서 보일러 내부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음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