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14년05월25일 기출문제)
1과목 : 전기자기학
1번
반지름이 0.01m인 구도체를 접지시키고 중심으로부터 0.1m의 거리에 10μC 의 점전하를 놓았다. 구도체에 유도된 총 전하량은 몇 μC 인가?
2번
그림과 같은 손실 유전체에서 전원의 양극 사이에 채워진 동축 케이블의 전력 손실은 몇 W인가? (단, 모든 단위는 MKS 유리화 단위이며, σ는 매질의 도전율 S/m이라 한다.)

3번
어떤 공간의 비유전율은 2이고, 전위
이라고 할 때 점
에서의 전하밀도 p는 약 몇 pC/m3 인가?
이라고 할 때 점
에서의 전하밀도 p는 약 몇 pC/m3 인가?
4번
자기인덕턴스 L[H]인 코일에 I[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코일에 축적되는 에너지 W[J]와 전류 I[A]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어떤 모양이 되는가?
5번
전기력선의 성질로서 틀린 것은?
6번
구도체에 50 μC 의 전하가 있다. 이때의 전위가 10V 이면, 도체의 정전용량은 몇 μF 인가?
7번
내부장치 또는 공간을 물질로 포위시켜 외부 자계의 영향을 차폐시키는 방식을 자기차폐라 한다. 다음 중 자기차폐에 가장 좋은 것은?
8번
정전용량 0.06 μF 의 평행판 공기콘덴서가 있다. 전극판 간격의 1/2 두께의 유리판을 전극에 평행하게 넣으면 공기 부분의 정전용량과 유리판 부분의 정전용량을 직렬로 접속한 콘덴서가 된다. 유리의 비유전율을 εs = 5 라 할때 새로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μF 인가?
9번
무한장 솔레노이드의 외부 자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0번
공기 콘덴서의 고정 전극판 A와 가동 전극판 B간의 간격이 d = 1mm이고 전계는 극면간에서만 균등하다고 하면 정전 용량은 몇 μF 인가? (단, 전극판의 상대되는 부분의 면적은S[m2]라 한다.)

11번
단면적 4 ㎝2의 철심에 6×10-4Wb의 자속을 통하게 하려면 2800 AT/m의 자계가 필요하다. 이 철심의 비투자율은?
12번
자속밀도 10 Wb/m2 자계 중에 10 cm 도체를 30° 의 각도로 30 m/s로 움직일 때, 도체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몇 V 인가?
13번
진공 중에서 e(C)의 전하가 B[Wb/m2]의 자계 안에서 자계와 수직 방향으로 v[m/s]의 속도로 움직을 때 받는 힘 [N]은?
14번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5번
규소강판과 같은 자심재료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특징은?
16번
전자계에 대한 멕스웰의 기본 이론이 아닌것은?
17번
멕스웰의 방정식과 연관이 없는 것은?
18번
전자파가 유전율과 투자율이 각각 ε1, μ1인 매질에서 ε2, μ2 인 매질에 수직으로 입사할 경우 입사전계 E1과 입사자계 H1 에 비하여 투과전계 E2 와 투과 자계 H2 의 크기는 각각 어떻게 되는가? (단,
이다)
이다)
19번
자유공간에서 정육각형의 꼭짓점에 동량, 동질의 점전하 Q 가 각각 놓여 있을 때 정육각형 한 변의 길이가 a 라 하면 정육각형 중심의 전계의 세기는 ?
20번
전류 I[A]가 흐르고 있는 무한 직선 도체로부터 r[m]만큼 떨어진 점의 자계의 크기는 2r [m] 만큼 떨어진 점의 자계의 크기의 몇 배인가?
2과목 : 전력공학
21번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
22번
ACSR은 동일한 길이에서 동일한 전기저항을 갖는 경동연선에 비하여 어떠한가?
23번
화력 발전소에서 재열기로 가열하는 것은?
24번
보일러에서 절탄기의 용도는?
25번
변전소, 발전소 등에 설치하는 피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6번
전력선과 통신선 사이에 차폐선을 설치하여, 각 선 사이의 상호 임피던스를 각각 Z12, Z1s, Z2s라 하고 차폐선 자기 임피던스를 Zs 라 할때, 차폐선을 설치함으로서 유도 전압이 줄게 됨을 나타내는 차폐선의 차폐계수는? (단, Z12는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임피던스, Z1s는 전력선과 차폐선과의 상호 임피던스, Z2s는 통신선과 차폐선과의 상호 임피던스이다.)
27번
그림과 같은 66kV 선로의 송전전력이 20000kW, 역률이 0.8(lag)일 때 a상에 완전 지락사고가 발생하였다. 지락 계전기 DG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 (단, 부하의 정상, 역상 임피던스 및 기타 정수는 무시한다.)

28번
전력설비의 수용률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29번
직류 송전 방식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0번
정격전압 6600V, Y결선, 3상 발전기의 중성점을 1선 지락 시 지락전류를 100A로 제한하는 저항기로 접지하려고 한다. 저항기의 저항 값은 약 몇 Ω인가?
31번
변전소에서 지락사고의 경우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32번
송배전 계통에서의 안정도 향상 대책이 아닌 것은?
33번
다중접지 3상 4선식 배전선로에서 고압측 (1차측) 중성선과 저압측(2차측) 중성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목적은?
34번
전력용 콘덴서의 비교할 때 동기 조상기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35번
파동 임피던스가 300Ω인 가공 송전선 1km 당의 인덕턴스 [mH/km]는? (단, 저항과 누설 컨덕턴스는 무시한다.)
36번
전력계통 설비인 차단기와 단로기는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인터록을 설치하여 연계하여 운전하고 있다. 인터록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37번
가공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38번
지락 고장 시 문제가 되는 유도장해로서 전력선과 통신선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 현상은?
39번
한류리액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40번
그림과 같이 각 도체와 연피간의 정전용량이 C0, 각 도체간의 정전용량이 Cm인 3심 케이블의 도체 1조당의 작용 정전용량은?

3과목 : 전기기기
41번
그림과 같은 단상 브리지 정류회로(혼합 브리지)에서 직류 평균 전압[V]은?(단, E는 교류측 실효치 전압, α 는 점호 어각이다.)

42번
정격출력 5[kW], 정격 전압 100[V]의 직류 분권 전동기를 전기 동력계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더니 전기 동력계의 저울이 5[kg]을 나타내었다. 이때 전동기의 출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동력계의 암(arm) 길이는 0.6[m], 전동기의 회전수는 1500[rpm]으로 한다.)
43번
1차 전압 6000[V], 권수비 20인 단상 변압기로 전등부하에 10[A]를 공급할 때의 입력[kW]은?(단, 변압기의 손실은 무시한다.)
44번
직류 직권전동기가 있다. 공급 전압이 100[V], 전기자 전류가 4[A] 일때, 회전속도는 1500[rpm]이다. 여기서 공급 전압을 80[V]로 낮추었을 때 같은 전기자 전류에 대하여 회전속도는 얼마로 되는가? (단, 전기자 권선 및 계자 권선의 전저항은 0.5[Ω]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5번
부하의 역률이 0.6일 때 전압 변동률이 최대로 되는 변압기가 있다. 역률 1일때의 전압 변동률이 3[%]라고 하면 역률 0.8에서의 전압 변동률은 몇 [%]인가?
46번
1차 전압 V1, 2차 전압 V2 인 단권 변압기를 Y결선했을때, 등가용량과 부하용량의 비는?(단, V1 > V2이다.)
47번
병렬운전 중의 A, B 두 동기 발전기 중에서 A발전기의 여자를 B발전기보다 강하게 하였을 경우 B발전기는?
48번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서 주자속의 최대치를 øm, 자극수를 P, 전기자 병렬 회로수를 a, 전기자 전 도체수를 Z, 전기자의 속도를 N[rpm]이라 하면 속도 기전력의 실효값 Er[V]은?(단, 주자속은 정현파이다.)
49번
수백[Hz]~20000[Hz] 정도의 고주파 발전기에 쓰이는 회전자형은?
50번
동기 전동기의 위상특성곡선(V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정답이 발표되었으니 확정 답안 발표시 1, 2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51번
직류기의 정류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번
어느 변압기의 무유도 전부하의 효율이 96[%], 그 전압 변동률은 3[%]이다. 이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53번
동기 전동기의 위상 특성곡선을 나타낸 것은? (단, P를 출력,If를 계자전류, Ia를 전기자전류, cosθ 를 역률로 한다.)
54번
단상 유도전압조정기의 2차 전압이 100± 30[V] 이고, 직렬 권선의 전류가 6[A]인 경우 정격용량은 몇 [VA]인가?
55번
유도전동기에 게르게스 현상이 생기는 슬립은 대략 얼마인가?
56번
교류 타코미터(AC tachometer)의 제어 권선전압 e(t) 와 회전각 θ 의 관계는?
57번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가 슬립 s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유기전압 E2s 및 2차 주파수 f2s 와 s 와의 관계는?(단, E2는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2차 유기기전력이며 f1은 1차 주파수이다.)
58번
600[rpm]으로 회전하는 타여자 발전기가 있다. 이 때 유기기전력은 150[V], 여자전류는 5[A]이다. 이 발전기를 800[rpm]으로 회전하여 180[V]의 유기기전력을 얻으려면 여자전류는 몇 [A]로 하여야 하는가?(단, 자기회로의 포화현상은 무시한다.)
59번
유도전동기의 동작원리로 옳은 것은?
60번
변압기의 결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번
근궤적이 s평면의 jw축과 교차할 때 폐루프 제어계는?
62번
의 K ≥ 0 에서의 분지점(break away point)은?
의 K ≥ 0 에서의 분지점(break away point)은?
63번
그림의 회로와 동일한 논리소자는?

64번
그림과 같은 RLC 회로에서 입력전압 ei(t), 출력 전류가 i(t) 인 경우 이 회로의 전달함수 I(s)/Ei(s) 는?

65번
아래의 신호흐름선도의 이득 Y6/Y1 의 분자에 해당되는 값은?

66번
2차 제어계에서 공진주파수(Wm)와 고유주파수(Wn), 감쇠비(α)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은?
67번
다음 제어량 중에서 추종제어와 관계없는 것은?
68번
보드선도상의 안정조건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gm은 이득여유, øm은 위상여유)
69번
다음의 미분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시스템의 계수 행렬 A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70번
그림과 같은 RC 회로에서 RC << 1인 경우 어떤 요소의 회로인가?

71번
4단자 정수 A, B, C, D로 출력측을 개방시켰을 때 입력측에서 본 구동점 임피던스
를 표시한 것중 옳은 것은?
를 표시한 것중 옳은 것은?
72번
직렬로 유도 결합된 회로이다. 단자 a-b에서 본 등가 임피던스 Zab 를 나타낸 식은?

73번
RC 저역 여파기 회로의 전달함수 G(jw)에서 w=1/(RC) 인 경우 |G(jw)| 의 값은?

74번
분포정수회로에 직류를 흘릴 때 특성 임피던스는? (단, 단위 길이당의 직렬 임피던스 Z=R+jwL[Ω], 병렬 어드미턴스 Y=G+jwC[℧]이다.)
75번
다음 회로에서 전압 V를 가하니 20A의 전류가 흘렀다고 한다. 이 회로의 역률은?

76번
대칭 좌표법에서 대칭분을 각 상전압으로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
77번
그림과 같은 형 4단자 회로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 중 Y22는?

78번
에서 x(t) 는 얼마인가? (단, x(0)=x'(0)=0 이다.)
에서 x(t) 는 얼마인가? (단, x(0)=x'(0)=0 이다.)
79번
costㆍsint 의 라플라스 변환은?
80번
다음 왜형파 전류의 왜형률은 약 얼마인가?

5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번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철탑 중에서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의 종류는?
82번
합성수지 몰드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시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83번
전력보안 통신용 전화설비의 시설장소로 틀린 것은?
84번
교량위에 시설하는 조명용 저압 가공 전선로에 사용되는 경동선의 최소 굵기는 몇 mm인가?
85번
다음 중 국내의 전압 종별이 아닌 것은?
86번
의료장소의 안전을 위한 의료용 절연 변압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7번
제 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8번
사용전압이 35000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 전선로의 보안공사로 적합한 것은?
89번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전선으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시설로서 옳지 않은 것은?
90번
고압 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공사 방법은?
91번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하중이 가하여지는 경우에 그 하중을 받는 지지물의 기초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이상시 상정하중은 무관)
92번
금속체 외함을 갖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되어 위험의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사용전압은 몇 V 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93번
전극식 온천용 승온기 시설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94번
전기부식방지 시설에서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적합한 것은?
95번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이고 옥내 배선을 시공한 후 점검 할 수 없는 은폐 장소이며, 건조된 장소일 때 공사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96번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97번
발전소, 변전소를 산지에 시설할 경우 절토면 최하단부에서 발전 및 변전설비까지 최소 이격거리는 보안 울타리, 외곽도로, 수림대를 포함하여 몇 m 이상 되어야 하는가?
98번
345kV 가공전선과 154kV 가공전선과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99번
일반 주택의 저압 옥내배선을 점검한 결과 시공이 잘못된 것은?
100번
22900/220V, 30kVA 변압기로 단상 2선식으로 공급되는 옥내배선에서 절연부분의 전선에서 대지로 누설하는 전류의 최대한도는?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8월14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7월26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7월2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8월05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8월06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8월07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8월08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
- 2003년08월10일
- 2003년05월25일
- 2003년03월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