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전기기사 (2010년03월07일 기출문제)

1과목 : 전기자기학
1번
영구자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번
대지의 고유저항이 ρ[Ω·m]일 때 반지름 a[m]인 그림과 같은 반구 접지극의 접지저항[Ω]은?
3번
렌쯔의 법칙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4번
앙페르의 주회적분 법칙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5번
자유공간에서 전파 E(z,t)=103sin(ωt-βz)ay[V/m]일 때 자파 H(z,t)[A/m]는?
6번
평행판 콘덴서에 어떤 유전체를 넣었을 때, 전속밀도가 4.8×10-7[C/m2]이고, 단위 체적당 에너지가 5.3×10-3[J/m3]이었다. 이 유전체의 유전율은 몇 [F/m]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번
무손실 전송 회로의 특성 임피던스[Ω]는?
8번
유전율이 10인 유전체를 5[V/m]인 전계 내에 놓으면 유전체의 표면전하밀도는 몇 [C/m2]인가? (단, 유전체의 표면과 전계는 직각이다.)
9번
자유공간 중에서 점 P(2, -4, 5)가 도체면상에 있으며, 이 점에서 전계 E=3ax-6ay+2az[V/m]이다. 도체면에 법선성분 En및 접선성분 Et의 크기는 몇 [V/m]인가?
10번
도전도 k=6×1017[℧/m], 투자율 μ=(6/π)×10-7인 평면도체 표면에 10[KHz]의 전류가 흐를 때, 침투되는 깊이 δ[m]는?
11번
V=x2[V]로 주어지는 전위 분포일 때 x=20[㎝]인 점의 전계는?
12번
길이가 100[㎝]인 자기 회로를 구성할 때 비투자율이 50인 철심을 이용한다면, 자기 저항을 2.5×107[AT/ωb]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단면적을 약 몇 [m2]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3번
자기 인덕턴스의 성질을 옳게 표현한 것은?
14번
자기 인덕턴스 0.05[H]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매초 530[A]의 비율로 증가할 때 자기 유도 기전력[V]은?
15번
내부장치 또는 공간을 물질로 포위시켜 외부 자계의 영향을 차폐시키는 방식을 자기차폐라 한다. 다음 중 자기차폐에 가장 좋은 것은?
16번
비유전율이 ℇr인 유전체 표면에서 d1만큼 떨어져 있는 점전하 Q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유전체 표면에서 d2만큼 떨어져 있는 점전하 2Q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같을 때 d2는?
17번
어떤 자기회로에 3000[AT]의 기자력을 줄 때, 2×10-3[Wb]의 자속이 통하였다. 이 자기회로의 자화에 필요한 에너지는 몇 [J]인가?
18번
진공 중에 놓인 Q[C]의 전하에서 발산되는 전기력선의 수는?
19번
유전율이 각각 다른 두 유전체가 서로 경계를 이루며 접해 있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이 경계면에는 진전하분포가 없다고 한다.)
20번
수직편파는?
2과목 : 전력공학
21번
송전 전력, 송전거리, 전선의 비중 및 전력 손실률이 일정하다고 할 때, 전선의 단면적 A[mm2]은? (단, V는 송전 전압이다.)
22번
과전류 계전기는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한 동작 시한(time limit)이 있는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바 그림에서 반한시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23번
코로나 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24번
정격전압 7.2[kV], 차단 용량 100[MVA]인 3상 차단기의 정격 차단 전류는 약 몇 [kA]인가?
25번
한 상의 대지 정전용량 0.4[μF], 주파수 60[Hz]인 3상 송전선이 있다. 이 선로에 소호 리액터를 설치하려 한다. 소호리액터의 공진 리액턴스는 약 몇 [Ω]인가?
26번
수력 발전소의 댐을 설계하거나 저수지의 용량 등을 결정하는데 가장 적당한 것은?
27번
변전소에서 접지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28번
단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번
부하에 따라 전압 변동이 심한 급전선을 가진 배전 변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압조정 장치는?
30번
6.6[kV] 3상 3선식 배전선로에서 완전 1선 지락 고장이 발생 하였을 때 GPT 2차에 나타나는 전압 [V]은? (단, GPT는 변압기 3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압기의 변압비는 (6600/√3)/(110/√3)V이다.)
31번
종축에 절대온도 T, 횡축에 엔트로피 S를 취할 때 T-S선도에 있어서 단열변화를 타나내는 것은?
32번
피뢰기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33번
가공 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구비조건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34번
송전 선로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35번
소호 원리에 따른 차단기의 종류와 그 특성의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36번
전력용 콘덴서를 변전소에 설치할 때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직렬 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계산식은? (단, f0는 전원의 기본 주파수, C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L은 직렬 리액터의 용량이다.)
37번
전선에 교류가 흐를 때의 표피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8번
동기 조상기와 전력용 콘덴서를 비교할 때 전력용 콘덴서의 이점으로 알맞은 것은?
39번
직접 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로에 채용되는 이유로 가장 타탕한 것은?
40번
“송전선로의 전압을 2배로 승압할 경우 동일 조건에서 공급전력을 동일하게 취하면 선로 손실은 승압 전의 ( ㉮ )로 되고, 선로손실률을 동일하게 취급하면 공급 전력은 승압전의 ( ㉯ )로 된다.” ( ㉮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3과목 : 전기기기
41번
4극 60[hz]의 유도 전동기가 슬립 5[%]로 전부하 운전하고 있을 때 2차 권선의 손실이 94.25[W]라고 하면 토크는 약 몇 [N·m]인가?
42번
정격 5[kW], 100[V]의 타여자 직류 전동기가 어떤 부하를 가지고 회전하고 있다. 전기자 전류 20[A], 회전수 1500[rpm], 전기자 저항이 0.2[Ω]이다. 발생 토크는 약 몇 [kg·m]인가?
43번
3상 6극 슬롯수 54의 동기 발전기가 있다 어떤 전기자코일의 두변이 제 1슬롯과 제 8슬롯에 들어 있다면 단절권 계수는 약 얼마인가?
44번
유도 전동기의 슬립(slip) S의 범위는?
45번
동기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분포권의 특징이 아닌 것은?
46번
정류자형 주파수 변환기를 동일한 전원에 연결된 유도전동기의 축과 직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7번
정격 전압이 6000[V], 정격 출력 12000[kVA], 매상의 동기 임피던스가 3[Ω]인 3상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는?
48번
병렬 운전 중의 A, B 두 동기 발전기에서 A 발전기의 여자를 B 발전기 보다 강하게 하면 A발전기는?
49번
변압기의 전압 변동률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50번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에서 정출력 제어에 속하는 것은?
51번
주파수가 정격보다 3[%] 상승하고 동시에 전압이 정격보다 3[%] 저하한 전원에서 운전되는 변압기가 있다. 철손이 fBm2 (f : 주파수, Bm : 자속밀도 최대치)에 비례 한다면 이 변압기 철손은 정격 상태에 비해 어떻게 달라지는가?
52번
직류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 것은?
53번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번
정격 출력이 7.5[kW]의 3상 유도 전동기가 전부하 운전에서 2차 저항손이 300[W]이다. 슬립은 약 몇 [%]인가?
55번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번
어떤 단상 변압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이 240[V]이고, 정격 부하시의 2차 단자 전압이 230[V]이다. 전압 변동률은 약 몇 [%]인가?
57번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 2차 1상의 저항이 0.3[Ω]이다. 이 유도 전동기의 기동 토크를 전부하 토크와 같도록 하기 위해 외부에서 2차에 삽입해야 할 저항의 크기 [Ω]는?
58번
반도체 소자 중 3단자 사이리스터가 아닌 것은?
59번
단상 변압기의 임피던스 와트를 구하기 위하여 어느 시험이 필요한가?
60번
서보 전동기로 사용되는 전동기와 제어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번
다음 중 f(t)=e-at의 Z 변환은?
62번
상태 방정식 = Ax(t)+bu(t) 에서 A = 이라면 A의 고유값은?
63번
다음 중 어떤 계통의 파라미터가 변할 때 생기는 특성 방정식의 근의 움직임으로 시스템의 안정도를 판별하는 방법은?
64번
그림과 같은 벡터 궤적을 갖는 계의 주파수 전달 함수는?
65번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로 표시되는 계는 무슨 형인가?
66번
특성 S3+2S2+2S+40=0방정식이 인 경우,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은 몇 개인가?
67번
다음 중 G(s)H(s) = 일 때 근궤적의 수는?
68번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에서 전달함수 C(s)/R(s)는?
69번
다음의 논리회로를 간단히 하면?
70번
G(jω)=K/(jω(jω+1))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0이다.)
71번
R=100[Ω], L=1[H]의 직렬회로에 직류전압 E=100[V]를 가했을 때, t=0.01[s] 후의 전류 it[A]는 약 얼마인가?
72번
내부 임피던스가 0.3+j2[Ω]인 발전기에 임피던스가 1.7+j3[Ω]인 선로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부하 임피던스가 몇 [Ω]일 때 최대 전력이 전달되겠는가?
73번
다음과 같이 1개의 콘덴서와 2개의 코일이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300[hz]의 주파수가 공진한다고 한다. C=30[μF], L1=L2=4[mH]이면 상호인덕턴스 M 값은 약 몇 [mH]인가? (단, 코일은 동일 축 상에 같은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74번
피상 전력이 22[kVA]인 부하의 역률이 0.8 이라면 무효전력[Var]은?
75번
정격 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의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은?
76번
eJWt의 라플라스 변환은?
77번
다음 회로를 테브낭의 등가회로로 변환할 때 테브낭의 등가저항 RT[Ω]과 등가전압 VT[V]는?
78번
60[hz], 120[V] 정격인 단상 유도 전동기의 출력은 3[HP]이고, 효율은 90[%]이며, 역률은 80[%]이다. 역률을 100[%]로 개선하기 위한 병렬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VA]인가? (단, 1[HP]은 746[W]이다.)
79번
e=100√2 sinωt+75√2 sin3ωt+20√2 sin5ωt[V]인 전압을 RL 직렬회로에 가할 때 제 3고조파 전류의 실효치는? (단, R=4[Ω], ωL=1[Ω]이다.)
80번
4단자 정수 A, B, C, D 중에서 어드미턴스 차원을 가진 정수는?
5과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번
쇼윈도내의 배선에 사용전압 400[V] 미만에 사용하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인가?
82번
터널 내에 3300[V] 전선로를 케이블 공사로 시행하려고 한다.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또는 아래 면에 따라 붙일 경우에 케이블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83번
특고압 전로와 고압 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에 설치하는 방전 장치의 접지 저항은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84번
사용 전압이 20[kV]인 변전소에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하고자 할 때 울타리, 담 등의 높이는 몇 [m] 이상 이어야 하는가?
85번
발전기, 전동기, 조상기, 기타 회전기(회전 변류기 제외)의 절연 내력 시험 시 전압은 어느 곳에 가하면 되는가?
86번
154[kV] 가공 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사용 전선은 인장강도 58.84[kN] 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 몇 [mm2]의 경동연선이어야 하는가?
87번
전식 방지를 위한 귀선의 시설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8번
특고압 계기용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공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9번
빙설이 많은 지방의 특고압 가공 전선 주위에 부착되는 빙설의 두께[㎜]와 비중은?
90번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91번
합성 수지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2번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93번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과 고압 가공 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94번
변압기에 의하여 특고압 전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에는 사용전압의 3배 이하의 전압이 가하여진 경우에 방전하는 피뢰기를 어느 곳에 시설 할 때, 방전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가?
95번
시가지에 시설하는 통신선을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선은?
96번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목주의 풍압하중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97번
일정 용량 이상의 조상기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데 그 용량은 몇 [kVA] 이상인가?
98번
가공 전선로에 사용되는 특고압 전선용의 애자장치에 대한 갑종 풍압 하중은 그 구성재의 수직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으로 몇 Pa를 기초로 계산하여야 하는가?
99번
사용 전압이 154[kV]인 가공 송전선의 시설에서 전선과 식물과의 이격거리는 일반적인 경우에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00번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 및 이에 부속하는 전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대지 전압은 최대 몇 [V]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