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변경)

2015년03월08日 96번

[생화학 및 발효학]
발효과정을 통한 탄소원의 대사 경로에서 Embden-Meyerhof-Parnas(EMP) 경로와 Hexose monohosphate(HMP)경로 사이의 차이점이 아닌 것은?

  • ① 수소이탈 보조효소
  • ② ATP 필요성
  • ③ ribose-5-phosphate 공급
  • ④ 젖산(lactic acid)의 생성
(정답률: 55%)

문제 해설

Embden-Meyerhof-Parnas(EMP) 경로와 Hexose monohosphate(HMP)경로는 모두 탄소원의 대사 경로이지만, 젖산(lactic acid)의 생성은 이 두 경로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대사 경로인 유산 발효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유산 발효과정에서는 글루코스가 피리빅산을 축합하여 라크토산을 생성하고, 이 라크토산이 더 분해되어 젖산이 생성된다. 따라서 젖산(lactic acid)의 생성은 EMP 경로와 HMP 경로와는 관련이 없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