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변경)

2013년06월02日 6번

[식품위생학]
분변 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는 대장균군의 MPN(Most Probable Number)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검체 1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
  • ② 검체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
  • ③ 검체 100g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
  • ④ 검체 10g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
(정답률: 86%)

문제 해설

정답은 "검체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입니다.

MPN 검사는 대장균군의 존재 여부와 그 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검체를 일련의 배지에 분배하여 대장균군의 증식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통해 대장균군의 수를 추정합니다.

검체의 양이 적을수록 대장균군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검체 100ml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검체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수"가 MPN 검사에서 사용되는 지표로 이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검체의 양이나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MPN 검사에서 사용되는 지표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